<aside> 👨🏻‍💻 커피사유가 2022. 1. 14. 22:32에 마지막으로 편집했습니다.

</aside>


*“ ‘Well, Pip,’ said Joe, ‘be it so or be it so not, you must be a scholar afore you can be uncommon one, I should hope! The king upon his throne, with his crown upon his ed, can’t sit and write his acts of Paliament in print, without having begun, when he were a unpromoted Prince, with the alphabet - Ah!’ added Joe, with a shake of the head that was full of meaning, ‘and begun at A too, and worked his way to Z. And I know what that is to do, though I can’t say I’ve exactly done it.’ ”


Table of Contents

📜 머리말


‘책 함께 읽고 이야기하기’를 위한 바벨의 도서관은 누구나 함께 읽고 싶은 도서를 제안하고, 동일 도서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끼리 모여 자유롭게 독서 소모임을 구성하는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하는 독서 커뮤니티입니다. 바벨의 도서관은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커뮤니티 공간이기 때문에, 본격적인 정립 이전에 우선은 가능한 많은 구성원들의 이야기를 청취하고 논의하여 함께 이 커뮤니티에서 어떤 활동을 이어나갈지, 커뮤니티는 어떻게 구성하고 운영해야 하는지 등과 같은 제반 사항들을 확립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 어떠한 준비 과정에 대한 로드맵이나 절차, 준비 과정에 참여하는 구성원들 간에 기본 전제가 되는 사항들을 약속해두지 않으면 필연적으로 본 준비 커뮤니티 안에서는 혼잡한 견해의 충돌이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바벨의 도서관의 준비 과정이 어떠한 로드맵을 거쳐 이루어질 것인지, 본 커뮤니티에서 각 아이디어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처리되고 반영되는지, 그리고 바벨의 도서관 커뮤니티에서 기본 전제가 되는 사항과 기본 전제가 되지 않는 사항들을 분명히 명시하여 차후 벌어질 수 있는 불필요한 혼란을 줄이고 생산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물론 이 문서의 내용이 항상 완벽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메인 페이지에서도 말씀 드렸듯이, 언제든지 문서의 내용에 대한 수정 · 보완 의견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해당 부분에 대한 견해를 남겨 주시기 바랍니다. 논의를 거쳐 합의가 이루어지면 해당 합의안을 문서에 적극 반영하겠습니다.

🚕 ‘바벨의 도서관’ 준비 로드맵


<aside> 💡 로드맵 목표, 또는 바라는 결과를 이루기 위한 대략적인 과정을 보여주는 계획이나 도식을 흔히 로드맵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로드맵은 프로젝트의 방향과 중간 달성 목표들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로드맵을 통해서 공동 작업자들은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확인하고 다음으로 진행할 계획들을 효과적으로 수립할 수 있습니다.

</aside>

roadmap.png

바벨의 도서관은 총 4단계로 이루어진 로드맵을 따라 그 수립을 준비하고자 합니다. 논의 단계, 구현 단계, 시험 단계, 공개가 바로 이 프로젝트의 로드맵을 구성하는 각 단계입니다.

첫번째 단계인 논의 단계에서는 바벨의 도서관 커뮤니티에서 함께 진행하면 좋을 활동, 그리고 커뮤니티의 운영을 위해 필요한 행동강령(규칙)과 기능, 마지막으로 이러한 활동과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논의합니다. 논의 단계는 구현 단계와 중첩되어 동시에 진행되기도 하지만, 본 준비 커뮤니티에서 제안된 모든 아이디어는 아이디어 논의 과정에 따라 검토 · 논의를 거친 후 도입 여부를 결정한 이후에야 구현에 들어가기 때문에 논의 단계가 구현 단계보다 선행한다는 것은 변하지 않습니다.

두번째 단계인 구현 단계에서는 준비 커뮤니티에서 도입이 결정된 아이디어들을 실현 · 구현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모색합니다. 네이버 카페,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등과 같은 사회 관계망 서비스를 플랫폼으로 모색할 수도 있으며, 플랫폼이 마땅치 않은 경우에는 다른 Open Source 플랫폼 프로젝트를 논의할 수도 있습니다. 온라인 플랫폼이 모색되어 결정되면 도입이 결정된 아이디어들을 실제로 해당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기능이나 Extension 등을 통해 실제로 구현해보고 동작을 시험해봅니다.